Mac9 [Mac] 따옴표 자동변환 설정 맥을 사용하다보면 운영체제가 글자를 자동으로 변환해서 불편했던 적이 많다. 예를 들어 따옴표("")를 입력하면 맥에서 자동으로 “”로 변환한다. 문제는 메모장에 적어둔 소스코드에서 사용하는 쌍따옴표가 변환되기 때문에 다시 코드를 붙여넣었을 때 에러가 발생하는 점이다. 이런 자동변환은 맥에서 제공하는 스마트인용 및 대시 인용 기능이다. 이 기능을 꺼두면 원하지 않는 문자 변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설정방법 스마트인용 및 대시 인용 기능을 끄기 위해 설정 앱을 연다. 키보드 메뉴의 텍스트 입력 섹션에 있는 입력 소스 항목의 '편집'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입력 소스에 대한 설정들이 나오는데, 하단에 '스마트 인용 부호 및 대시 사용' 설정을 해제해주고, 큰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를 변환되지 않도록 선택해준다. 2023. 4. 21. [Mac] 맥북 화면보호기, 화면잠금 설정 방법 맥북으로 작업을 하다가 잠시 자리를 비울 때가 있습니다. 이 때, 작업하던 내용을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도록 화면을 잠궈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맥북의 화면보호기 설정과 화면 잠금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맥북 화면 잠금 맥북은 화면잠금이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별다른 설정없이 사용자가 화면을 잠그고 싶을 때, 기능을 실행하면 화면 잠금이 실행됩니다. 맥북을 실행한 상태에서 좌측 상단에 있는 애플 아이콘을 클릭하면 화면 잠금 메뉴가 나옵니다. 단축키로는 컨트롤 + 커맨드 + Q 키를 누르면 쉽게 화면을 잠글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화면잠금 기능을 호출하지 않아도 일정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화면을 자동으로 잠궈주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설정 앱에서 '화면 잠금' 메뉴를 선택하면 화.. 2023. 4. 17. [Mac] 맥북 트랙패드 탭해서 클릭하도록 설정 (터치패드 클릭) 맥북의 트랙패드를 이용해 마우스 클릭을 하기 위해서는 트랙패드를 버튼 누르듯이 꾹 눌러야 합니다. 그러면 트랙패드에서도 버튼이 눌리는 형태의 진동이 피드백으로 오면서 클릭이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립니다. 맥북을 쭉 써오신 분들이라면 그리 어색한 것은 아니지만 다른 노트북을 사용하다가 오신 분들은 약간 어색할 수 있습니다. 다른 노트북의 경우 클릭 방식이 트랙패드를 터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맥북의 트랙패드를 다른 노트북처럼 터치로 클릭을 할 수 있게 바꿔보겠습니다. 탭해서 클릭으로 변경 맥북의 시스템 설정 앱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맥북의 화면 하단에 있는 톱니 바퀴 모양의 시스템 설정 앱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상단의 애플 마크를 클릭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을 선택합니다. .. 2023. 3. 17. [Mac] 맥북 비밀번호 대신 터치 아이디 사용하도록 설정 방법 이번 포스트에서는 맥북에 있는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터치 아이디를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터치 아이디를 활성화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르고 편리하게 맥북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게 설정을 변경해보겠습니다. 맥북 터치 아이디(Touch ID) 활성화 카페나 도서관 같이 여러 사람들이 오가는 상황에서 맥북을 사용하다가 잠깐 자리를 비워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모니터 화면의 내용을 다른 사람이 못 보게 화면을 덮어놓고 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여기에 추가로 맥북을 잠궈서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잠금해제가 되도록 설정해 두면 좋습니다. 다만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하는 경우 키보드 입력을 해야해서 번거로운데요. 맥북 프로의 경우 전원 버튼에 지문인식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서 비밀.. 2023. 3. 16. 맥북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 맥북을 처음받아서 개발환경과 작업 환경을 세팅하고 있습니다. 노트북을 처음 받고 가장 먼저해야할 일 중 하나가 바로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입니다. 회사에서 업무용으로 받은 노트북은 초기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데요. 이걸 내가 사용하는 비밀번호로 바꿔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맥북의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맥북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 방법 맥북의 로그인 비밀번호 변경방법은 간단합니다. 시스템 설정을 엽니다. 화면 하단에 있는 독에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상단에 있는 애플 마크를 클릭해서 '시스템 설정' 항목을 클릭하면 설정 앱을 열 수 있습니다. 'Touch ID 및 암호' 항목을 클릭하면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의 터치 아이디 및 암호 설정 변경을 할 수 있는 화면이 .. 2023. 3. 14. [Mac] 맥에서 fn 키 누르지 않고 F1, F2, ... 키 사용하도록 설정 맥북 키보드의 상단에는 macOS에 내장된 기능을 제어하는 키들이 달려있습니다. 예를 들어 화면의 밝기를 조절한다던가 현재 재생중인 음원이나 동영상을 조작하고 볼륨을 올리거나 내리는 등의 기능입니다. 맥북 프로의 일부 모델에서는 터치바가 탑재되어 이런 기능들을 키가 아닌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고,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었는데요. 최신 맥북으로 돌아오면서 다시 펑션키로 바뀌었습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F1~F12 키로 동작하지 않고 macOS의 내장된 기능을 제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요. 개발환경을 이용할 때에 F1~F12키를 자주 사용하게 되는 상황에서 매번 fn 키를 눌러서 F1~F12 키를 조작하는건 매우 불편합니다. F1~F12 키 기본 동작 변경 fn 키를 누르지 않고도 맨 윗줄의 키가 표준 기능 키.. 2023. 3. 11. [Mac] 맥북 마우스 휠 스크롤 방향 바꾸는 방법 윈도우와 맥은 여러모로 다른 점이 많습니다. 윈도우를 사용하다가 맥을 쓰거나 맥을 사용하다가 윈도우를 쓸 일이 있으면 여기저기에서 어색함이 많이 느껴지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스크롤 방향입니다. 윈도우는 스크롤을 내리면 브라우저 화면이 위로 올라갑니다. 하지만 맥은 스크롤을 내리면 화면이 아래로 내려오죠. 마치 화면을 잡아서 끌어내리는 것처럼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면 화면을 터치하고 위로 밀어 올리는 것처럼 사용하는데요. 맥이 이런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가져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윈도우와 맥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입장에서는 뭐가 더 직관적인지를 떠나서 불편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맥의 설정을 윈도우처럼 바꾸는 방법을 찾아봤습니다. 맥북 마우스 스크롤 방향 바꾸기 맥북에서 마우스 스크롤 방향을.. 2023. 1. 16. [Mac] 맥 화면 분할 단축키 사용법 윈도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화면 분할 기능입니다. [윈도우] 키를 누른채 방향키를 누르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윈도우 창이 화면의 절반으로 분할되어 표시됩니다. 요즘은 27인치 이상 큰 화면에 고해상도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 윈도우를 하나의 화면에 띄워놓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단축키가 기본 제공되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Mac OS - Split View 기능 Mac OS 역시 'Split View' 기능을 제공합니다. 하나의 화면에서 두 개의 윈도우를 띄워두고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Mac OS의 윈도우 창에 있는 녹색 버튼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두거나 길게 누르면 Split View 메뉴가 나옵니다. 전체 화면으로 띄우거나 화면 왼쪽.. 2021. 11. 19. MacOS에서 USB 드라이브 포맷하는 방법 USB 메모리를 폐기할 일이 있어서 드라이브 포맷을 진행했습니다. 윈도우의 경우 '내 컴퓨터'를 통해서 바로 포맷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데요. 아이맥이나 맥북에서는 포맷을 할 수 있는 유틸리티를 찾아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합니다. 1) macOS의 런치패드에서 '기타(Other)' 항목을 들어가보면 '디스크 유틸리티(Disk Utility)'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디스크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USB 디스크의 정보가 표시됩니다. 'USB-DISK'라는 이름의 USB 드라이브가 확인되고 있는데요. 총 용량은 8.05GB이고 4.23GB가 사용중입니다. 현재 FAT32 포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상단에 있는 메뉴중 '지우기(Erase)' 메뉴를 선택합.. 2021. 11. 18. 이전 1 다음